· 공부

[재무제표 : 회사의 가계부] 자산이란

채니꺼야 2021. 10. 19. 17:40
반응형

 

 

제무제표의 원칙

1.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. (매출액, 영업이익, 매출채권, 재고자산, 유형자산 등)

2. 이분법 논리ㅣ의 위험성

 ex) 유상증자

  - 자본이 모자른 부실기업이 손 벌릴 때 > 악재

  - 신사업 준비 등으로 유상증자 할 때 > 호재

3. 조화와 균형이 중요하다

 ex) 매출액 상승→매출채권, 재고자산↑

4. 투자 유망종목을 재무제표만 보고 고르기는 어렵다.

 

 

재무재표 볼 때 중요순서(분기실적 확인)

손익계산서(매출액, 영업이익, 순이익) > 재무상태표 = 현금흐름표

 


재무상태표 읽기(=대차대조표)

자산 부채
차본
자산 :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주는 것.
부채 : 타인자본, 매입채무(외상)
자본 : 자기자본(자본금, 자본잉여금, 이익잉여금)
자산 = 부채 + 자본

 

1. 자산 

1) 유동자산(1년 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)

 - 현금 및 현금성 자산(단기 금융상품 포함)

 - 매출채권

 - 재고자산

 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은 운전자본이라고 하는데 운전자본이란 운영하는데 필요한 자산이라고 보면 된다.

  재고 자산은 매출규모 및 전분기 또는 전년동기 대비를 비교할 것.

 - 기타 유동자산(투자자산)

 

2) 비유동자산(1년 내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)

 - 유형자산 : 부동산, 토지 등. 일반적으로 30~60%(매출액 대비)를 차지하는게 좋다.

 단, 선박 등 장치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예외.

 - 무형자산 : 영업권, 개발비 등. 무형자산이 큰 기업은 주의.

 ex) 신약개발 - 무형자산은 임상3상부터 적용되며, 나머지는 비용처리 된다. 만약 개발 실패 시 손상차손(손실)처리.

 - 기타 매도 가능한 금융자산 등.

 

자산 항목에서 기억할 점

 1) 일정 규모의 현금 보유

 2) 매출이 증가하면 매출채권도 증가

 

※ 매출채권이 전 분기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지, 매출액에 비해 너무 많이 증가했는지 파악하는게 중요하다.

 

 

"이 포스팅은 쿠팡 파트너스 활동의 일환으로, 이에 따른 일정액의 수수료를 제공받습니다."

반응형